>
React Query 파헤치기
·
React
오랜만입니다. 리액트 쿼리 공부좀하고 왔습니다. 제가 이해한걸 설명해 보겠습니다. React 프로젝트에서 서버 데이터를 가져오는 일은 누구나 합니다.우리는 주로 axios, useEffect, useState 조합으로 이렇게 짜왔습니다.useEffect(() => { axios.get('/todos') .then(res => setTodos(res.data)) .catch(err => setError(err)) .finally(() => setLoading(false));}, []);처음엔 간단해 보이지만,화면이 늘어나고 요청이 많아지면 버그, 반복, 복잡도가 쌓이기 시작합니다.그래서 등장한 게 바로 React Query입니다.React Query란?서버 상태(Server State)를..
FLUX 패턴에 대해서 (단방향 데이터 흐름)
·
React
안녕하세요!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다 보면 '상태 관리'라는 거대한 벽에 부딪히곤 하죠. 많은 분들이 Redux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며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때로는 라이브러리 사용법 너머의 근본적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할 때가 있습니다. 왜 이런 상태 관리 방식이 등장했을까요? 그 해답의 중요한 열쇠 중 하나가 바로 Flux 패턴입니다.Flux는 단순히 오래된 기술이 아니라, 복잡한 데이터 흐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핵심적인 디자인 철학입니다. 특히 기존 MVC 패턴이나 양방향 데이터 바인딩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Flux 패턴이 왜 필요했는지, 그 핵심 원리인 단방향 데이터 흐름은 무엇이며, 이것이 어떻게 오늘날 우리가 더 예측 가능하..